통영국제음악제 이자람의 판소리 공연 소리꾼 이자람이 지난달 29일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공연에서 판소리를 선보이고 있다. 2025.03.29. [ⓒ Sungchan Kim. 통영국제음악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통영=연합뉴스) 박원희 기자 = "네가 열녀라지?"지난달 29일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에서 소리꾼 이자람이 동초제 춘향가 중 어사와 춘향의 상봉 대목을 읊었다. 극 중 이몽룡은 어사출두로 변 사또를 쫓아낸 뒤에도 춘향을 모르는 체하며 풀어주지 않고 있다. 춘향에게 열녀가 맞느냐며 자기 수청을 들라는 이몽룡을 한참 연기하던 이자람이 갑자기 이렇게 말한다. "(이몽룡이) 도대체 왜 이러는 걸까요." 객석 곳곳에서 웃음이 터졌다. "판소리의 매력은 높은 경지의 어려운 테크닉으로 나와 가장 가까운 삶의 이야기를 친근하게 건네는 데 있다고 생각합니다. 범접하기 어려웠던 사람이 알고 보니 나와 비슷하게 '허당'이거나 털털한 면을 갖고 있을 때 갑자기 확, 가깝게 느끼잖아요. 그런 것과 비슷한 느낌입니다." 올해 통영국제음악제에서 판소리 공연을 펼친 한국의 대표 소리꾼 이자람이 연합뉴스와 한 서면 인터뷰에서 판소리의 매력을 이렇게 설명했다. 통영국제음악제 이자람의 판소리 공연 소리꾼 이자람과 이준형 고수가 지난달 29일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공연에서 관객들에게 인사하고 있다. 2025.03.29. [ⓒ Sungchan Kim. 통영국제음악재단 제공. 재판매 및 DB금지] 그는 "(판소리는) 조선시대에는 대중에게 가장 가까운 장르였다. 사람의 삶을 이야기하고 노래하는 장르였다"며 "그런데 국가 무형유산으로 남을 만큼 높은 공력과 예술적 테크닉이 대단하다 보니 점점 '높은 경지의 어려운 장르'로 인식이 바뀌어 온 것 같다"고 말했다. 이날 공연에서 이자람은 일반 사람이 범접하기 어려운 소리로 춘향의 애환을 노래하다가도, 본인 말투로 춘향이 처한 상황을 설명하며 관객 눈높이에서 공연을 이어갔다. 관객은 "잘한다", "얼씨구" 등의 추임새를 넣으며 화답했다. 통영국제음악제 이자람의 판소리 공연 소리꾼 이자람이 지난달 29일 통영국제음악당 콘서트홀에서 열린 공연에서 판소리를 선 사진 제공=블리몽키즈 [서울경제] 국내 뷰티 스타트업들이 수출 국가 다변화 차원에서 중동으로 향하고 있다. 높은 구매력과 젊은 인구, 한류 인기로 인해 K뷰티에 대한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면서 중동이 '기회의 땅'으로 부상하고 있는 모습이다.2일 스타트업 업계에 따르면 K뷰티 이커머스 플랫폼 '마카롱'을 운영하는 블리몽키즈는 최근 아랍에미리트(UAE)와 사우디아라비아, 쿠웨이트, 카타르, 바레인, 오만 등 중동 6개국으로 서비스를 확대했다. 마카롱은 중동 국가 소비자들의 피부 타입과 메이크업 트렌드를 반영해 스킨케어와 선케어, 메이크업, 헤어 등 다양한 카테고리에서 2000개 이상의 상품을 선보일 예정이다.블리몽키즈는 인도 시장에서 경험한 마카롱의 성공 경험을 중동 지역에 이식하겠다는 계획이다. 마카롱은 K뷰티 브랜드들이 겪는 현지 '위생허가인증(CDSCO)' 문제를 해결해주는 방식으로 인도 시장 진출을 지원해 왔다. 자체 개발한 ‘AI 위생허가 시스템’을 통해 서류 검토와 오류 탐지 등을 자동화한 덕분이다. 블리몽키즈는 인도와 중동 시장 진출 시 갖춰야 할 서류의 유사점이 많다고 보고 있다. 이에 AI 위생허가 시스템을 중동 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K뷰티 기업들에도 적용해 지원하겠다는 전략이다.블리몽키즈 관계자는 “최근 K팝, K드라마 등 한류 열풍으로 인해 중동 지역에서 K뷰티의 인기가 급상승하고 있으며 UAE와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수요가 높다”며 “중동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비건, 천연 성분의 제품과 기후 특성을 고려한 제품 라인업으로 카테고리를 다양화해 현지 소비자들을 공략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글로벌 K뷰티 스타트업 딜리딜리는 사우디아라비아 시장 진출을 추진한다. 이를 위해 딜리딜리는 최근 사우디아라비아 투자부(MISA)로부터 '기업가 화장품 무역 라이선스'를 획득했다. 사우디에서 한국 창업자가 직접 라이선스를 취득한 첫 사례다. 딜리딜리는 이번 라이선스를 활용해 사우디 등 중동 여성의 피부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하는 AI 기반 맞춤형 K뷰티 솔루션을 제공할 계획이다.구체적으로는 △중동 여성 피부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맞춤형 화장품 개발 △현지 유통 및 공급망 문제 해결을 위한 최적화된 플랫폼 구축 △한국과 중동을 연결하는 새로운 뷰티 생태계 조성을 계획하고 있다.K뷰티 역직구 플랫폼 ‘스타일코리안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