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김학송 선교사북한 억류 1년, 신앙으로 버텨탈북 고아가 남긴 통일한국의 사명김학송(62) 선교사가 지난달 27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근처 카페에서 북한선교의사명을 받게 된 계기를 설명하고 있다.북한에서 억류된 경험을 딛고 통일한국을 위한 사역을 이어가는 김학송(62) 선교사를 만났다. 고된 억류 생활로 건강이 악화됐고 지난해 파킨슨병 진단까지 받았지만 그의 눈빛은 통일을 향한 사명감으로 빛나고 있었다. 그는 지금도 북한의 복음화와 복음 통일을 위해 기도하며 걸어가고 있다.김 선교사는 지난달 27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근처 카페에서 통일한국을 향한 비전을 나눴다. 그는 “탈북민 자녀 세대가 평양으로 돌아가 통일한국을 재건할 세대”라며 “성경에서도 하나님은 여호수아 세대를 통해 가나안을 정복하게 하셨고,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스룹바벨 세대가 예루살렘 성벽을 세우게 하셨다”고 말했다.중국 연변 출신 조선족이었던 그는 연변 도문시에서 농업기술부문 공무원으로 근무하다 생계를 위해 미국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미국에서 최초로 목사안수를 받은 최민 목사의 전도로 예수님을 영접했다. 이후 그는 월드미션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세계복음선교연합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으며 목회자의 길을 걸었다.그러던 중 로마서 9장 1~3절 말씀을 통해 “동족인 북한 동포의 구원을 위해 나의 삶을 바쳐야겠다”는 사명을 깨달았고 미국 국적을 취득하며 북한에 들어갈 기회를 기다렸다. 그러다 2014년 평양과학기술대학 농생명학부 실험농장 책임자로 초청받으며 북한 사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김학송(62) 선교사가 지난달 27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근처 카페에서 2017년 북한 감옥에 억류됐던 당시 밤마다 두 팔을 들고 기도했었던 경험을 간증하고 있다.북한에서 그는 벼 이식재배 실험과 겨울철 채소 재배 등 농업기술을 전파하며 학생들과 교류했다. 공개적으로 전도할 수는 없었지만 북한의 기독교적 배경을 이야기하며 자연스럽게 신앙을 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외국인 기숙사 회의실에서 몰래 드렸던 새벽예배가 도청되면서 2017년 5월 6일, 북한 당국에 체포됐다. 그는[인터뷰] 김학송 선교사북한 억류 1년, 신앙으로 버텨탈북 고아가 남긴 통일한국의 사명김학송(62) 선교사가 지난달 27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근처 카페에서 북한선교의사명을 받게 된 계기를 설명하고 있다.북한에서 억류된 경험을 딛고 통일한국을 위한 사역을 이어가는 김학송(62) 선교사를 만났다. 고된 억류 생활로 건강이 악화됐고 지난해 파킨슨병 진단까지 받았지만 그의 눈빛은 통일을 향한 사명감으로 빛나고 있었다. 그는 지금도 북한의 복음화와 복음 통일을 위해 기도하며 걸어가고 있다.김 선교사는 지난달 27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근처 카페에서 통일한국을 향한 비전을 나눴다. 그는 “탈북민 자녀 세대가 평양으로 돌아가 통일한국을 재건할 세대”라며 “성경에서도 하나님은 여호수아 세대를 통해 가나안을 정복하게 하셨고, 바벨론 포로에서 돌아온 스룹바벨 세대가 예루살렘 성벽을 세우게 하셨다”고 말했다.중국 연변 출신 조선족이었던 그는 연변 도문시에서 농업기술부문 공무원으로 근무하다 생계를 위해 미국으로 이주했다. 그곳에서 미국에서 최초로 목사안수를 받은 최민 목사의 전도로 예수님을 영접했다. 이후 그는 월드미션신학대학원을 졸업하고 세계복음선교연합회에서 목사 안수를 받으며 목회자의 길을 걸었다.그러던 중 로마서 9장 1~3절 말씀을 통해 “동족인 북한 동포의 구원을 위해 나의 삶을 바쳐야겠다”는 사명을 깨달았고 미국 국적을 취득하며 북한에 들어갈 기회를 기다렸다. 그러다 2014년 평양과학기술대학 농생명학부 실험농장 책임자로 초청받으며 북한 사역을 본격적으로 시작했다.김학송(62) 선교사가 지난달 27일 서울 용산구 이태원역 근처 카페에서 2017년 북한 감옥에 억류됐던 당시 밤마다 두 팔을 들고 기도했었던 경험을 간증하고 있다.북한에서 그는 벼 이식재배 실험과 겨울철 채소 재배 등 농업기술을 전파하며 학생들과 교류했다. 공개적으로 전도할 수는 없었지만 북한의 기독교적 배경을 이야기하며 자연스럽게 신앙을 전하기도 했다. 그러나 외국인 기숙사 회의실에서 몰래 드렸던 새벽예배가 도청되면서 2017년 5월 6일, 북한 당국에 체포됐다. 그는 ‘반공화국 범죄행위’ 혐의로 1년간 북한 보위부 구치소에 억류됐다.그가 처음 70일 동안 겪은 환경은 혹독했다. 하루 18시간씩 자백서를 쓰며 식사, 화장실, 수면까지 철저히 통제당했다. 그는 당시 상황에 대해 “독방에서 습기와 추위, 벌레에 시달렸고 식사도 곰팡이가 핀 오이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