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일(현지시간) 워싱턴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열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 행사서 상호관세를 발표하는 행정명령 서명식 중 흡족한 표정으로 연설을 하고 있다. 2025.04.03 /로이터=뉴스1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54%(10%+10%+34%) 폭탄관세를 목전에 둔 시진핑의 중국이 기로에 섰다. 트럼프발 파고를 넘느냐, 넘지 못하느냐가 관건이다. 탈 미국 진영을 주도하며 이전과는 차원이 다른 미국의 강한 대안이 될지, 아니면 주요 시장 공급망을 모두 차단당하고 다시 오랜 절치부심에 빠질지가 결정된다. 물론 합의 가능성은 열려있다. ━ BRICS-RCEP-일대일로...무역전쟁 이후 준비해 온 중국 ━ 지난 2018년부터 촉발됐던 트럼프 1기 미중 무역분쟁 이후 중국은 상당히 면밀하게 미국과의 2차 무역전쟁을 준비해 왔다. 종래엔 미국을 꺾고 전 세계 헤게모니를 되찾겠다는 '100년의 마라톤' 전략을 감안하면 당연한 수순이다. 미국이 중국을 공식 경쟁국화하면서 중국의 계획도 공공연히 수면위로 떠올랐다. 중국 입장서 미국과 경쟁은 단순한 자존심 싸움이 아닌 존속과 생존의 문제가 됐다. 중국을 중심으로 브라질과 러시아,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이 모인 브릭스(BRICS)는 지난해부터 이란과 이집트, UAE 등으로 세를 확장하고 있다. 중국은 브릭스 총 GDP(국내총생산)의 약 65% 차지하는 맹주국이다. NDB(신개발은행) 창설을 주도하고 위안화 결제도 늘려간다. UAE 등의 가입도 중국의 브릭스 확장정책 주장의 결과물이다. G7에 대응하는 글로벌사우스(개도국 연대) 대안체를 만들자는 거다. 아세안 10개국에 한중일 3국, 호주와 뉴질랜드 등이 속한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내에서도 중국은 최대 경제대국이자 수출국이다. 브릭스보다 더 직접적으로 중국발 공급망 재편의 핵심 역할을 하는게 RCEP다. 중국이 상당수 회원국들과 국경을 접하며 실제 수출입이 가능한 허브 역할과 초대형 소비시장의 역할을 동시 수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대일로'나 중·아프리카협력포럼은 더 말할 것 없는 중국 주도 글로벌 이니셔티브들다. 중국이 설계했고, 또 유일한 중심국가다. 인프라와 금융, 외교가 결합된 경제외교 틀이다. 김경록 미래에셋자산운용 고문 커플이 영화표를 3만원 주고 사서 보고 있는데 영화가 지독하게 재미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A는 3만원이 아까워 계속 보자고 하고, B는 3만원은 어차피 지불한 비용으로 되돌릴 수도 없으니 영화관에서 나와 밀린 일을 하자고 한다. 누가 합리적인 선택일까? B이다. A는 이미 지출되어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떨쳐 내지 못하고 미래의 기회를 놓쳤기 때문에 비합리적인 선택을 했다고 볼 수 있다. 비슷한 사례가 많다. 책을 읽다가 재미없으면 지불한 책값을 상관하지 말고 그 책 읽기를 중단하고 다른 책을 읽어야 한다. 대부분은 지불한 돈이 아까워 재미없는 책을 끝까지 읽는 비합리적인 선택을 한다. 큰 프로젝트에서도 이런 일은 발생한다. 프로젝트의 성공 확률이 낮아졌는데 지금까지 투자한 비용 때문에 계속 그 프로젝트에 돈을 넣는다. 이처럼 ‘이미 지출되어 회수할 수 없는 비용’을 매몰 비용(sunk cost)이라 하는데, 이는 인간의 합리적인 선택을 방해하는 중요한 요인이다. ■ 「 과거 연연하다 비합리적 선택 노후의 성공적 변화 위해서는 매몰 비용 ‘0’로 보는 태도 중요 」 일러스트=김지윤 선택에서 매몰 비용의 중요성을 강조한 사람이 대니얼 카너먼(Daniel Kahneman) 교수이다. 심리학자로서 노벨경제학상을 받은 그는 1934년 3월에 태어나서 2024년 3월에 나이 90세가 되자 세상을 떠났다. 저렇게 정확하게 90세를 살고 가는 게 좀 이상해 보인다. 실제로 최근에 밝혀진 바에 따르면 카너먼 교수는 조력사를 통해 스스로 죽음을 택했다고 한다. 카너먼은 평소 입버릇처럼 자신은 ‘매몰 비용이 제로(0)’라는 말을 했다. 매몰 비용이 제로이니 매몰 비용 때문에 비합리적인 선택을 하지 않는다는 뜻이다. 즉, 과거가 아니라 미래 효용을 기준으로 판단한다는 뜻이다. 그의 자발적 죽음도 매몰 비용이 제로인 자신의 철학을 대변했다고 볼 수 있다. 카너먼은 오롯이 90세 이후의 자기 삶의 모습을 고려하여 최선의 선택을 하고자 했다. 아마 그 삶은 재미없는 영화라고 판단한 듯하다. 실제로 카너먼은 부인이 인지증(치매)